Window 운영체제 에서 

실행 창에서 Debug 명령을 치커나 

실행 창에서 Cmd 명령을 입력후 커맨드 창에서 Debug 명령을 사용할수 있다.



Ctrl + R  키를 누르면 위 사진 처럼 실행창이 표시된다. 


win7 32bit 에서만 Debug 명령을 사용하수 있다.



아래 사진은 작성중인 컴퓨터 스팩이다.




그림에서 처럼 Debug 명령을 하여도 Debug 명령이 실행되지 않는다.


작성중인 컴퓨터의 OS는 Win10 64bit 이므로 실행이 되지 않는것이다.


window 10은 win7과 많이 호환 되므로 window10 32Bit에서는 Debug 명령이 실행됨을 확인할수 있다.



========================================================

window 10 32 bit



window 10에서 Debug 명령 사용 


위에서 16bit 사용 오류 인데  window 키 +R [실행] 창에서 debug.exe 실행은 되었지만 Cmd 창에서 Debug 실행시 오류가 발생한다.


set __COMPAT_LAYER=WinXP 옵션을 주어서 cmd 창에서 실행 가능하게 하였고

cmd 창을 새롭게 추가 할때마다 옵션을 주어야 하므로 


배치 파일을 만들거나 레지스트리에 등록이 필요할것 같다.





32Bit 운영체제  - 메모리 인식 4G, 시스템 관련 작업에 적합

64BIt 운영체제  - 메모리 인식 4G 이상 가능, 그레픽 작업에 적합


가끔 32bit 에서만 실행되는 프로그램들이 종종 있으며 또 64Bit 에서만 실행 되는 프로그램들을 유심히 살표본 결과 시스템 쪽 자원을 세세하게 작업하는 프로그램과

메모리를 세세하게 작업하여 그래픽 관련 작업을 많이 한다는 것을 발견


듀얼보니터 설정을 하려고 해도 않되는 분들은 자신의 컴터가 32bit 인지 64bit 인지 확인해 보아야한다


그러므로 듀얼모니터는 64bit에서만 사용가능하다 생각하면 편함



 명령어 


 ?  - Cmd 창에 디버그 명령어 리스트를 출력한다.

 a -  원시 코드 문장을 어셈블(기계코드 로 번역) 한다

 e -  데이터 또는 기계 명령어를 입력

 d - 메모리를 덤부한다

 s -  메모리 목록에 있는 문자를 찾는다.

 g - 현재 비버깅 중인 메모리에서 지정된 범위 까지 실행시킨다.


 f   - 지정한 메모리 범위를 원하는 값으로 채운다

 m -  지정된 메모리 범위를 원하는 주셍 복사한다.

 r   - 레지스터 상태를 보여준다.  레지스터를 특정 지을시 해탕레지스터 내용 변경

 n -  디크스로 부터 읽기/쓰기 할 파일이름을 지정한다

 w - 디버거 내용을 파일로 저장한다.

 q - 디버거를 빠져 나간다


 

'어셈블리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셈블리어 기초  (0) 2018.01.09

WRITTEN BY
DkDragon

,